제주도 제2공항 필요한 이유는? 예정 위치와 한계점
제주도 2번째 공항 어디에 지어요?
제주 2공항 또 만들어야 할만한 이유가 있나요?
제주도에 여행을 그렇게 많이 가나요?
제주도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국내 여행 중 가장 가장 가고 싶어하는 곳 중 항상 순위권에 들어간다
특히 내륙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은 제주도의 바다를 특히나 즐긴다
기상이 악화되면 제주공항 결항으로 인해 혼잡한 상황이 된다는 건 한번씩 뉴스로 들어봤을텐데, 생각보다 제주도로 여행가는 사람들이 많다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외국에서도 많이 오는데, 그 규모가 엄청나다
그럼 제주 2공항이 필요한 이유와 예정 위치에 대한 한계점에 대해 알아보자

전세계 가장 바쁜 인기 항공편 노선 TOP 10
| 순위 | 항공 노선 | 2022년 여행객(명) |
2021년 여행객(명) |
| 1 | 제주-김포 | 16,068,983 | 17,082,700 |
| 2 | 삿포로-하네다 | 10,216,765 | 8,171,324 |
| 3 | 후쿠오카-하네다 | 9,894,296 | 7,562,387 |
| 4 | 하노이-호치민 | 8,562,009 | 6,806,131 |
| 5 | 제다-리야드 | 7,371,119 | 6,677,097 |
| 6 | 시드니-멜번 | 6,996,156 | 2,119,779 |
| 7 | 뭄바이-델리 | 6,941,947 | 4,891,881 |
| 8 | 도쿄-하네다 | 6,910,809 | 5,602,408 |
| 9 | 자카르타-덴파사르 | 6,741,923 | 3,939,509 |
| 10 | 베이징-상하이 | 6,321,194 | 7,910,793 |
전혀 예상하지 못했겠지만, 서울 김포공항(GMP)에서 제주공항(CJU)을 운항하는 항공편이 단지 우리나라에서 인기노선이 아니다
전세계에서 단일 노선으로 가장 많이 운항하는 노선이다
그럼 지금의 제주공항은 어떤 상황일까?
제주 국제공항(CJU) 활주로 현황
| 제주 2공항 건설 계획안 |
내용 | |
| 주 활주로 | 길이 |
3,180m |
| 가로 폭 | 45m | |
| 보조 활주로 | 길이 |
1,900m |
| 가로 폭 | 45m | |
지금의 제주공항은 겨우 활주로가 2개다
그것도 보조 활주로는 길이가 2,000m도 되지 않는다
이 정도 길이로는 기상이 좋지 않으면 B737, A320 Family 같은 작은 기체들도 이착륙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제주공항에 작은 기체가 많이 이용되긴 하지만, 국내 항공사들도 A330, B777 등 대형기를 종종 운항하는데 착륙 가능한 활주로가 1개뿐이라는 얘기다
그런데 이착륙하고자 하는 수요는 넘쳐나니 공항이 혼잡할 수 밖에 없다
인기 시간대에는 2분마다 1대씩 이착륙을 하고 있으니 청신이 없을 수 밖에..
어쩌다 활주로에 비행기 사고가 발생해서 활주로를 못 쓰게 되면 타격이 심각하다
특히 주 활주로를 못 쓰게 되면 착륙하지 못하는 기체들은 되돌아가야 한다
제 2공항이 필요하긴 한데, 어디에 짓는걸까?
제주 제2공항 활주로 건설 예정지

-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 성산읍 온평리
2공항의 위치는 제주도 동쪽 끝, 성산일출봉이 있는 서귀포시 성산읍 부근이다
부지 선정 이유는 정치적인 것도 있을 거고 여러가지 이해관계가 있을텐데 사실 관계는 알 수 없다
어쨌든 여기로 확정이 되어 짓는다고 하면, 어떤 장단점이 있을까?
제주 2공항 세부 계획안
| 제주 제2공항 시설 계획 |
내용 |
| 활주로 1개 | 길이 3200m 폭 45m |
| 평행유도로 2개 | 길이 3200m 폭 23m |
| 계류장 | 항공기 44대 보관 가능 |
| 여객터미널 | 약 167,381㎡ |
| 화물터미널 | 약 6,920㎡ |
아직 완전 확정은 아니지만, 계획을 보면 활주로 1개의 공항이다
A380, B747을 제외한 대형기도 운항할 수 있는 크기다
하지만 활주로 1개짜리 공항은 역시나 리스크가 크다
국내 내륙 지역의 비인기 노선이면 모를까, 장기적으로 보면 활주로가 2개가 있는게 좋을텐데 현실적으로 문제가 많은가보다
제주 제2공항 건설 관련 우려 사항
- 조류충돌 위험성
- 법정보호종 보호 문제
- 야생동물 서식지 보전
- 숨골 보전 가치
- 공항 부지 내 용암동굴 가능성
- 공항 소음 문제
- 도로, 하수도 기반시설 필요
여러가지 문제가 제기되고 있는데, 어차피 기존 공항을 확장하는 게 아니면 비슷한 문제들이 있다고 본다
특히 문제는 지하동굴과 관련된 숨골이 이 지역에 많다고 한다
조사 초기에는 숨골이 8개라고 하다가 최근에는 100개가 넘는다고 해서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숨골을 막고 공사를 강행하면 지하수 및 암반에 문제가 생긴다고 하는데, 자세히는 모르는 부분이라 정밀 조사가 이루어졌으면 한다
기존 제주공항 확장 가능성은?
사실 공항을 새로 지으면 관련 시설과 도로 등 갖추어야 할 게 많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라고 생각한다
기존 제주공항을 확장하는게 비용면에서나 여러가지로 편할 것 같은데,
이런 결정은 단순한 효율이라기보다 정치나 여러가지 이해관계가 얽혀있겠지
김해공항도 굳이 가덕도에 신공항을 지을 필요가 있나 싶다
김해공항 확장도 여러가지 문제가 있겠지만, 굳이 접근성도 좋지 않은 허허벌판인 가덕도에 신공항을 짓는게 맞는 판단인지 잘 모르겠다
그냥 공항을 이용하는 여행객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성산일출봉쪽까지 차타고 가기는 또 귀찮은데, 성산읍에 공항이 생기면 편하긴 할 것 같다
일단 공사 확정에 시작하기 전까진 어떻게 될 지 모른다
하지만 지금의 상황을 보면 제주도에 새로운 공항이나 추가적인 활주로가 필요한 것은 확실해보인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