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항공칼럼
해당되는 글 166건 항공기-항공사-관련-소식-관점-생각-공유

비행기 조종사 임금 40% 올리는 미국, 우리나라는..?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가 파업을 예고하다가 생각보다 빨리 회사측과 합의했다 사측이 제시한 2.5%에 반발한 것인데, 아무리 수당 올려주고 격려금 준다고 해도 그대로 2.5%에 합의를 할 거라고 생각은 안했는데.. 승객들 입장에선 다행이지만 참 씁쓸한 결과다 조종사가 넘쳐나서 그런가? 전혀 아니다 특히 미국 상황을 보면, 조종사들이 이직을 할까봐 회사에 부담이 갈 정도로 임금을 많이 올려주고, 각종 혜택을 주고 있다 미국 3대 메이저 항공사 임금 협상 현황 항공사 앞으로 4년 임금 상승률 델타항공 34% 유나이티드항공 40% 아메리칸항공 40% 코로나가 끝나고 다시 항공 여객시장이 활성화되고 있다 문제는 고용, 해고가 자유로운 미국 시장에서 코로나 시기에 많은 조종사를 해고하고 조기 퇴직을 했다보니 이제..
국내 항공사에 취업하면 정년 근무(60세) 보장될까?
항공사 취업하면 안정적인가요? 항공사는 전부 사기업이니까 40대, 50대 되면 짤리나요? 정년 보장되는 항공사가 있을까요? 아직 취업도 하기 전에 고민할 문제는 아니지만, 항공사에 관심이 많은 분들은 궁금해할 수 있는 문제다 과거 1969년 이전, 공기업이었던 대한항공공사가 한진그룹에 넘어가서 지금의 대한항공이 된 이후 우리나라 항공사는 모두 사기업이다 일반적으로 떠올려보면 공무원, 공기업의 가장 큰 장점은 별도의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 정년이 보장된다는거다 대기업하면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떠올리는 건 월급도 많고 복지도 좋은 편이지만, 40대 이후부터는 회사에서 짤릴 수 있다는거다 그런 분위기가 한참 지속되다가, 요즘은 공무원 최고 분위기에서 다시 사기업쪽에 대한 선호도가 좀 높아지고 있다 항공사에 ..
아시아나항공 여름 결항 주의.. 조종사 파업 지속 가능성 높아
어제 7월 16일, 아시아나항공 국제선 항공편이 조종사 노조 파업으로 인해 결항됐다 항공업은 필수공익사업장으로 지정되어 있어서 파업 규모의 한계가 있고 보통 국제선 결항은 없도록 회사에서도 대처를 하는 편이지만 이번에는 대기 예정인 조종사측에도 문제가 생겨 부득이하게 결항했다 보통 노조의 파업이라고 하면 부정적인 인식이 많은데, 내막을 들여다보면 좀 너무하다 싶다 아시아나항공 조종사 노조의 입장을 충분히 이해하지만, 당연히 승객들 입장에서는 짜증이 날 수밖에.. 사측과 노조측의 입장을 좁히는게 쉽지 않아 보이기 때문에 이번 여름에 아시아나항공 국제선을 예약한분들은 재수없으면 결항될 수 있다.. 조종사 노조는 왜 파업하는걸까 2022 2023 국내 항공사 입금협상 현황 임금협상 년도 항공사 노조 상승률 ..
가덕도 신공항, 여행객 입장에서 해외여행 갈 때 도움될까? 장단점 분석
가덕도 신공항 개항하면 유럽, 미국 직항 뜨나요? 가덕도 공항 생기면 김해공항은 국내선만 운항한다구요? 가덕도 공항은 김해공항보다 크게 짓나요? 부산의 끝쪽, 가덕도에 신공항을 짓는 문제로 말이 많다 10조 이상의 엄청 큰 비용이 들다보니 정치적으로도 말이 많고 각종 환경, 비용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있다 이런 분야는 잘 모르는 영역이니 제외하고, 비행기를 타고 여행을 가는 부산 인근 지역의 여행객 기준으로 가덕도 신공항이 개항하면 해외여행을 갈 때 어떤 점이 도움이 될 지, 단점은 어떤게 있을지 자세히 알아보자 2029년 가덕도 신공항 건설 로드맵 일시 계획 2023년 8월 기본계획 수립 2023년 12월 기본계획 고시 2024년 1월 공사 발주 2024년 12월 공사 착공 2029년 12월 공사완료 및..
대형항공사(대한항공, 아시아나) 채용 전망이 좋지 않은 이유
코로나 끝났으니 대형항공사 채용 많이 할까요? 대한항공, 아시아나 채용 많이 하겠죠? 인수합병 되고 나면 더 많이 하나요? 2020년 11월부터 대한항공이 아시아나항공을 합병 논의를 시작한 이후 벌써 3년이 다 되어가고 있지만 아직 가장 어려운 유럽, 미국의 합병 승인을 받아내지 못했다 미국 내에 제트블루와 스피릿항공의 합병도 요즘 이슈인데, 둘이 합쳐도 미국 시장 내 점유율이 5%에서 10%로 증가하는 건데도 법무부에서 시장 경쟁 약화 문제로 소송을 걸고 있다 대한항공과 아시아나는 어떨까? 2023년 7월, 한국 항공사 비행기 보유대수 항공사 비행기 대수 대한항공 157 아시아나항공 77 제주항공 39 티웨이항공 31 진에어 26 에어부산 21 이스타항공 4 에어서울 6 플라이강원 3 에어로케이 3 에..
비행기 결함으로 랜딩기어(바퀴) 없이 동체착륙하면, 수리 가능할까?
비행기 바퀴 고장나서 밖으로 나오지 않으면, 비행기 몸통으로 착륙하나요? 비행기 착륙할 때 랜딩기어 없이도 가능할까요? 최근 델타항공의 보잉 B717이 고장으로 인해 랜딩기어가 나오지 않았고 이를 인지한 상태에서 비행기 몸통을 땅에 맞대며 착륙하는 동체착륙(Belly Landing)을 했다 다행이 사상자가 나오거나 불이 나진 않았는데, 이 비행기는 다시 사용할 수 있을까? 2023년 6월, 델타항공 B717 동체착륙 사건 일지 동체착륙 사고 정보 내용 항공사 델타항공 기체 BOEING B717 항공편명 DL1092 출발 공항 애틀랜타 하트필드 잭슨 국제공항 (ATL) 도착 공항 샬럿 더글라스 국제공항 (CLT) 좌석 수 110석 탑승 승객 96명 조종사 2명 승무원 3명 착륙 전 랜딩기어에 문제가 있다는..
전세계 AIRBUS A220 보유 항공사는? 몇대나 주문했을까
에어버스 상업용 여객기 중 제일 작은 기체는? A220 우리나라에도 있어? 에어버스 A220은 캐나다의 항공기 제작사 봉바르디에(Bombardier)에서 개발해서 판매하던 CS100/CS300을 2018년에 에어버스가 인수하면서 에어버스 시리즈로 이름을 변경한 기체입니다 전세계적으로 베스트셀러인 B737, A320 시리즈보다 작은 기체로, 2시간 이내 단거리 노선에 주로 사용됩니다 에어버스 A220으로 전환되고 나서 항공사들의 주문이 더 많아지고 있는데요, 어떤 항공사가 이 기체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을까요? 전세계 항공사별 A220 보유대수 및 세부 기종 항공사 A220-100 A220-300 보유대수 델타항공 45 15 60 에어발틱 42 42 스위스 9 27 36 에어캐나다 33 33 에어프랑스 ..
대한항공이 저가항공사보다 작은 A220 비행기를 도입한 이유는?
우리나라 항공사에서 제일 작은 비행기는 뭐야? 저가항공사 비행기가 당연히 제일 작겠지? 대한항공에 더 작은 비행기가 있다고? 그냥 문득 생각하면, 우리나라에서 가장 작은 비행기는 저가항공사들이 운용하고 있는 BOEING B737 기체가 아닐까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항공기사용사업으로 등록된 상업용 여객기 기준, 가장 작은 비행기는 대한항공이 운용하는 AIRBUS A220입니다 A220은 유럽의 항공기 제조사 에어버스(AIRBUS)에서 판매하는 상업용 제트엔진 여객기 중 가장 작은 기체로, 항공사들의 주문이 많은 기종입니다 이 기체는 얼마나 작고, 어느 정도 인기가 있을까요? 저가항공사 B737 VS 대한항공 A220 항공사 기종 좌석 수 대한항공 A220-100 140 저가항공사 B737-800 18..
에어로케이 비행기 추가 도입.. 국제선 경쟁력 있을까
2021년에 운항을 시작한 에어로케이가 2년만에 2호기로 에어버스(AIRBUS)의 구형 A320-200을 도입한다 곧 3호기도 동일 기종으로 도입할 예정이다 그동안 동일 기종의 A320으로 청주 공항을 거점으로 국내선만 운항하다가 이번에 새로 도입하는 기체로 국제선을 운항한다고 한다 우리나라에 에어프레미아를 빼도 저가항공사(LCC)가 8개나 된다 땅 넓이 대비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수준이다 여기서 뒤에 든든한 모회사가 있는 것도 아닌데 에어로케이(AeroK)가 경쟁력을 가지고 살아남을 수 있을까 에어로케이 특징 처음에는 한화의 자본으로 설립되었으나 항공사 면허 발급이 지연되면서 지금은 아예 손을 뗐다 지금은 사모펀드가 운영하고 있다보니 미래가 밝다고 보기는 어렵다 대기업에서 이후에 인수를 하면 모르겠지만..
대한항공이 지속 가능 항공연료(SAF) 쓴다는데, 유럽 비행하려면 필수라고?
우리나라 항공사들만 해도 비행기가 300대가 넘고, 전세계 항공사들이 운용하는 비행기는 약 2만 5천대가 넘는다고 한다 그 비행기들이 하루에 1번 비행하고 쉬는 것도 아니고 항공사들은 최대한 수익을 내기 위해서 땅에 착륙해있는 시간보다 비행하는 시간이 더 많기 때문에 비행 연료로 인한 환경 오염도 무시할 수 없다 기존의 항공유 대신 지속가능 항공연료(SAF, sustainable aviation fuel)를 사용하면 탄소 배출을 80% 이상 덜 배출하기 때문에 환경 개선에 큰 도움이 된다고 한다 물론 환경도 중요한데, 어쨌든 대한항공을 비롯한 항공사들이 SAF 도입을 준비하는 가장 실질적인 이유는 2025년부터는 SAF 연료를 일정 비율 필수적으로 사용해야만 EU(유럽)에 취항할 수 있다 우리나라는 아직..
대한항공, 아시아나 입금협상 지연.. 항공사 노조가 파업하기 힘든 이유
항공사 직원들이 파업하면 회사도 손해가 크지 않나요? 조종사, 승무원, 정비사 중에 파업하면 비행 못하는거 아니에요? 항공사는 왜 파업해도 회사에 타격이 별로 없나요? 7월이 다와가는 지금, 국내에서 가장 규모가 큰 대형항공사인 대한항공과 아시아나항공은 아직도 임금협상이 진행중에 있다 코로나 시기에는 2019년 이후 3년간 임금 동결을 하며 버티기도 했다 물론 그 전에도 겨우 물가인상률을 따라가거나 그에 미치지 못한 인상률을 보이며 국내 항공사들이 외항사에 비해 임금 인상률이 매우 낮았다 2016년에는 대한항공 조종사들이 파업을 하기도 했는데, 큰 효과는 없었다 항공사들이 유독 회사와의 협상에 불리한 이유는 노조 문제도 있지만, 법적인 다른 이유도 있다 2005년 8월 ,아시아나항공 파업 2005년 8월..
항공사 직원들이 뽑은 가장 일하기 좋은 항공사 순위는? 실질적인 장점과 단점
우리나라 항공사들은 외항사 대비 만족도가 높을까? 국내 항공사 연봉 수준은 높은 편일까? 외항사가 좋다는 사람도 있던데.. 단점은 어떤게 있어? 최근에 기업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잡플래닛에서 현직, 전직 직원들을 대상으로 작년 5월부터 1년간 기업 평가를 기준으로 ‘가장 일하기 좋은 항공사 BEST 10’을 발표했다 일단 명확한 근거 데이터라기보다는 잡플래닛이라는 웹사이트에 개인들이 남긴 리뷰를 기준으로 했기 때문에 객관적인 데이터는 아니니 참고만 하면 된다 10개 항공사 중 뜬금 없이 다른 저가항공사(LCC) 대신 이스타항공이 있는데, 잡플래닛에서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일정 개수의 리뷰가 쌓인 항공사들만 대상으로 해서 순위를 매겼다고 한다. 몇몇 항공사들은 리뷰가 적어 평가 대상에서 빠졌다는 의미기 때..
티웨이항공, "헛수고" 광고 마케팅.. 의도는 뭘까
이번 학기도 (헛)수고하셨습니다 티웨이로 떠나세요 음… 이런 말을 해도 되나 싶을 정도의 문구지만 요즘 젊은 사람들이 재미로 쓰는 “헛” 관련 요즘 뜨는 유행어같은게 있나 싶었다 요즘 젊은 층에서 유행하는 내가 모르는 뭔가 있을 수 있으니까. 그런데 그런게 아니었나보다 위 포스터는 충북·대전 지역 일부 대학에 티웨이항공이 붙인 광고라고 하는데, 어떤 웃음포인트를 노린걸까? 비판이 많다보니 광고를 그만한다고 하는 걸 봐서 의도를 해명할 것 같진 않지만.. 너무 궁금하다 시간이 꽤 지나고 나서는 웃으면서 이 해프닝을 얘기할 날이 오겠지만 당장에는 조용히 덮으려는 모습이다 당연히 티웨이 윗선에서도 이걸보고 ‘이래도 되나?’ 생각이 들었겠지만 아래에 젊은 실무진에서 추진해서 이런 보고가 올라왔을때 그냥 안돼 하..